재건축 기대감에…서울 노후 아파트값 상승률, 신축의 2배 육박

l 2021.07.14 14:43:17

준공 20년 초과 아파트값 상반기에 3.06% 올라…5년차 이하는 1.58% 상승
강남권이 상승 견인…압구정 한양8차 210㎡ 1년새 18억원 '껑충'
'재건축 실거주 2년' 백지화에 "국민 상대로 실험하나, 전세난 부추겨" 비판 쏟아져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초구 반포 일대 아파트 단지 모습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김동규 기자 = 재건축 기대감 등의 영향으로 올해 상반기 서울의 노후 아파트값이 신축 아파트보다 2배 가까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하반기 이후 부여된 '실거주 2년' 의무를 피하려 재건축에 속도를 내는 단지가 늘어나고 서울시장 선거 과정에서 부동산 규제 완화 바람이 불며 커진 재건축 기대감이 사그라지지 않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런 가운데 작년 6·17 대책의 핵심 내용인 재건축 조합원 '2년 실거주' 방침이 최근 국회 논의 과정에서 백지화되면서 정부가 설익은 정책을 내놔 피해자를 양산하고 재건축 아파트값만 올려놓았다는 비판이 나온다.'

    ◇ "입주권 못 받을라"…규제 풍선효과로 속도 낸 강남 재건축
    14일 한국부동산원의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조사 통계에 따르면 서울에서 준공 20년 초과 아파트값은 올해 상반기(1∼6월) 주간 누적 기준 3.06%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준공 5년 이하인 신축이 1.58% 오른 것과 비교하면 2배 가까이 높은 수준이다.

    서울을 5개 권역으로 나눠서 보면 20년 초과 아파트값은 동남권(강남·서초·송파·강동구)이 3.78%로 가장 많이 올랐다. 이어 동북권 3.15%, 서남권 2.58%, 서북권 2.13%, 도심권 1.48% 등의 순이었다.

    '강남권'으로도 불리는 동남권에는 압구정·대치·서초·반포·잠실동 등의 주요 재건축 단지가 몰려 있다. 이들 단지가 아파트값 상승을 견인한 셈이다.

    동북권에는 노원구 상계동 등의 주공아파트를 중심으로 재건축 추진이 활발하고, 서남권은 양천구 목동신시가지 아파트를 중심으로 재건축을 추진하는 단지가 몰려 있다.

    일반적으로 신축 아파트값이 더 빨리 오르고 노후 아파트값은 더디게 오르는 것으로 여겨지지만, 노후 아파트는 재건축을 통해 새 아파트로 거듭날 수 있기 때문에 사업 추진에 탄력이 붙으면 큰 관심을 받아 가격이 껑충 뛰는 특성이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 부동산중개업소 앞에 붙은 시세 정보

[연합뉴스 자료사진]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지난해 상대적으로 가격 상승이 더뎠던 구축 아파트값이 올해 호재를 만나 오르며 가격이 키 맞추기 한 것으로 보인다. 압구정 등 재건축 단지가 사업 추진에 속도를 내면서 분위기를 주도한 것도 한 원인"이라고 말했다.

    압구정 현대아파트 등 재건축 단지들은 정부가 지난해 6·17 대책에서 투기과열지구 내 재건축 아파트를 조합설립 인가 이후에 구입하면 입주권을 주지 않겠다는 방침을 밝히자 이 규제를 피하려 서둘러 조합설립 인가를 받는 등 사업을 서둘러 추진했다.

    6·17 대책 이후 올해 초까지 강남구 개포동 주공 5·6·7단지를 비롯해 서초구 잠원동 신반포2차, 방배동 신동아, 송파구 송파동 한양2차, 용산구 서빙고동 신동아, 양천구 신정동 수정아파트 등이 재건축 조합설립 인가를 받으며 사업에 속도를 냈다.

    압구정동에서는 올 2월 4구역을 시작으로 5·2·3구역 등이 잇달아 조합설립 인가를 받았다.'

    ◇ 선거가 부추긴 재건축 기대감…상계주공6 58㎡ 반년 만에 2억5천만원 뛰어
    4·7 보궐선거 과정에서 유력 후보들이 부동산 규제 완화를 공약한 것도 재건축 아파트값 상승을 부추겼다.

    오세훈 시장은 당선 직후 재건축 아파트값 과열 우려가 커지자 압구정·여의도·목동 등 4개 지역을 1년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었지만, 재건축 규제 완화 기대감은 쉽게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재건축 아파트값 상승은 해당 지역 전체의 집값 상승도 견인했다.

    올해 상반기 서울 아파트값은 주간 누적 기준 2.29% 올랐다.

    구별로는 노원구가 3.80%로 가장 많이 올랐고, 송파구(3.54%), 서초구(3.31%), 강남구(3.05%), 마포구(2.75%), 양천구(2.53%), 도봉구(2.35%) 등이 상승률 7위 안에 들며 평균 이상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들 지역은 모두 주요 재건축 단지를 품고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 노원구·도봉구 일대 아파트 단지 모습

[연합뉴스 자료사진]


    노원구에서는 준공 34년을 맞은 상계동 상계주공6단지 전용면적 58.01㎡가 지난 6일 9억원(12층)에 신고가로 거래되며 작년 12월(6억5천만∼7억4천만원) 이후 6개월 만에 1억6천만∼2억5천만원 수준으로 올랐다.

    송파구에서는 서울의 대표 재건축 단지로 꼽히는 잠실주공5단지(준공 44년차) 전용 82.51㎡가 5월 28억1천100만원(13층)에 신고가로 거래되며 1월 23억원(3층)보다 5억원 넘게 올랐다.

    강남구 압구정동에서는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이후 아파트 매매가 뚝 끊겼다가 지난 9일 한양8차 210.1㎡가 66억원(15층)에 거래되며 1년 전(47억8천만원·5층)보다 18억2천만원이 뛰었다.

    압구정동 A 공인 대표는 "토지거래 규제 이후 압구정동에서는 5∼6월 두 달 동안 아파트 거래가 단 한 건도 없다. 하지만 재건축 기대감은 여전해 높아진 매매 호가는 계속 유지되고 있다. 내년 대선과 지방선거를 앞두고 규제를 풀어줄 것이라는 기대감도 있어 상승 분위기가 꺾이지 않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 '2년 실거주' 방침 백지화…"집주인·세입자 모두 피해자"
    지난 12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가 작년 6·17 대책의 핵심 내용인 재건축 조합원의 2년 실거주 의무 방침을 백지화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개정안을 통과시키면서 혼란이 커지고 있다.

    당정은 당시 서울 집값이 급등세를 보이자 강남권 재건축 아파트값을 잡겠다면서 강력한 수요 억제책으로 실거주 2년 요건을 채우지 않으면 재건축 후에 분양권을 주지 않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그러나 대책 발표 직후부터 지나친 규제라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고 토지거래허가제 등 더욱 강력한 규제가 작동하고 있다는 점, 세입자에게 피해가 전가될 우려가 있다는 점 등을 고려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았다.

    이에 국토위는 상임위 법안 논의 과정에서 '실거주 2년' 의무 조항을 삭제했다.

    이런 사실이 알려지자 인터넷 포털의 부동산 관련 카페에는 "정부가 국민을 상대로 실험한 것이냐", "실거주 요건 채우려 수천만원을 들여 인테리어 하고 들어간 집주인들이 멘붕이란다" 등의 분노에 찬 글이 올라오고 있다.'

richn@gaup.co.kr